프리티어 계정이 1년이 넘어 새로운 계정을 하나 팠습니다. 이번 기회에 인스턴스 생성 및 연결 방법을 기록하겠습니다.
1. EC2 서비스 들어가기
먼저 ec2 서비스를 콘솔창에 검색하여 들어갑니다. 이후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2. 이름 설정
가장 첫번째 설정은 인스턴스의 이름을 정해주는 부분입니다. 원하시는 아무 이름이나 적어주시면 됩니다.
3. 이름 설정
인스턴스에 설치할 OS를 선택하는 부분입니다.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 서버를 구동시킬 목적으로 unbutu를 선택하였습니다. 아키텍처는 x86으로 해주었습니다.
4. 유형 설정
인스턴스 유형에 따라 과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프리티어는 t2.micro를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당연히 t2.micro를 선택해줍니다.
5. 키 생성
ssh 원격 접속을 위해서 키 페어를 생성해줍니다. 생성된 키 파일은 자동 다운로드 됩니다. 이 파일이 있어야 ec2로 접속이 가능하기에 잘 보관하셔야 합니다.
6. 네트워크 설정
먼저 네트워크 설정 오른쪽에 편집을 눌러줍니다.
이후 보안 그룹을 새롭게 생성하여 인스턴스에 알맞는 보안 규칙을 넣어줍니다.
인바운드 보안 규칙은 인스턴스에 들어오는 트래픽에 대한 규칙입니다.
만약 오로지 자신만이 사용하겠다 하시면 소스 유형을 내 IP로만 지정하시면 됩니다.
7. 스토리지 구성
거의 다 왔습니다! 스토리지는 저장공간을 설정해주는 곳입니다. 프리티어는 30GIB까지 제공해주고 있어 저는 크기를 30으로 변경하였습니다. 나머지는 변경할 필요없습니다.
8. 생성 및 연결
이제 요약을 보시고 설정이 잘 되어 있으면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이후 다시 ec2에 들어가시면 인스턴스가 하나 생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시간이 좀 걸릴 수 있습니다.)
생성된 인스턴스를 눌러 정보를 확인하고 IP주소를 확인해줍니다. 여기서 퍼블릭 IPv4 주소를 복사하여 줍니다.
이후 터미널을 열어 다운로드 받은 키 체인 파일이 있는 디렉터리로 이동하여 줍니다. 그다음 "chmod 400 키체인_파일_이름" 으로 권한을 변경해줍니다.
그리고 ssh -i "키체인_파일_이름" unbuntu@ 뒤에 아까 복사한 ip주소를 붙여넣어 주면 됩니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ivate subnet에 위치한 RDS 인텔리제이 연결 (0) | 2024.12.03 |
---|---|
Ec2 certbot을 이용해서 https 연결하기 (ssl, nginx) (0) | 2024.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