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vate subnet에 위치한 RDS 인텔리제이 연결
·
AWS
1. 로컬 테스트기존 RDS를 지우고 다시 vpc private subnet에 RDS를 생성하였다. 그러다 보니 로컬에서 서버를 돌리기 위해 기존 yml 파일이나 인텔리제이 Database source도 수정이 필요했다. 2. 방법고뇌와 구글을 통해 생각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public subnet에 위치한 DB 만들기이걸 젤 먼저 처음 생각하긴 했는데, 생각해보니 비용과 나중에 DB 덤프를 할때 머리를 박을거 같아 패싱하였다. aws direct connet"AWS Direct Connect를 사용하면 AWS Virtual Private Cloud (VPC)와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VPC 내의 리소스에 대해 더 빠르고 안정적인 연결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라고 aws에서 알려..
Ec2 certbot을 이용해서 https 연결하기 (ssl, nginx)
·
AWS
보안을 위해서 https 연결은 필수적입니다. 때문에 이전에는 aws에서 제공해주는 ssl 인증서와 로드밸런서를 이용해서 https 연결을 하곤 했었습니다. 하지만 certbot을 이용하면 훨씬 더 손쉽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https 연결을 하기 위해서 도메인을 먼저 구매하여 route53을 통해 Ec2에 연결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합니다.선행작업이 모두 완료되었다면 ssh를 통해 ec2에 접속해줍니다. 그리고 certbot 홈페이지에 접속해줍니다. https://certbot.eff.org/ CertbotTaglinecertbot.eff.org 1. 서트봇 홈페이지 접속그러면 아래와 같이 software와 system을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 저는 software에 nginx, ..
AWS EC2 인스턴스 생성 및 연결(프리티어)
·
AWS
프리티어 계정이 1년이 넘어 새로운 계정을 하나 팠습니다. 이번 기회에 인스턴스 생성 및 연결 방법을 기록하겠습니다.1.  EC2 서비스 들어가기먼저 ec2 서비스를 콘솔창에 검색하여 들어갑니다. 이후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2.  이름 설정가장 첫번째 설정은 인스턴스의 이름을 정해주는 부분입니다. 원하시는 아무 이름이나 적어주시면 됩니다.  3.  이름 설정인스턴스에 설치할 OS를 선택하는 부분입니다.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 서버를 구동시킬 목적으로 unbutu를 선택하였습니다. 아키텍처는 x86으로 해주었습니다. 4.  유형 설정인스턴스 유형에 따라 과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프리티어는 t2.micro를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당연히 t2.micr..
돌_멩
'AWS'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