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요건도 다른 것으로 채웠지만 없는것보다 있는게 나을거 같아 응시해보았습니다. 저는 2024년 2회 정기기사 시험에 응시하였습니다.
원서 접수
응시는 큐넷에 들어가서 신청하면 됩니다. 워낙 사람들이 몰려 원하는 장소나 시간을 잡지 못할 수 있으나 장소가 상관없다면 잡기 쉬웠습니다. 풍문으로 의하면 웹보다는 앱이 더빠르다고 합니다...(체감상 그러긴 했음)
필기
필기는 기출을 다시 내는 은행식이라 정말 합격하기 쉽습니다. 전공자를 떠나 기출 문제를 몇번만 돌리면 거기서 나왔던 문제만 맞춰도 합격입니다. 5과목을 보게 되는데 과목별로 따로 응시하는것은 아니고 과목당 최소 40점이상, 평균 60점만 넘기면 됩니다. 정말 널널하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3일 잡고 기출돌리시면 넉넉할거 같습니다. (필기는 88점으로 합격하게 되었습니다.)
실기
실기는 걱정을 좀 했습니다. 총 문제수는 20문제로 합격률도 낮고 주위에서도 떨어진 사람이 있었기에 준비를 해야겠다 생각했습니다. 저같은 경우 전공을 했기에 시나공이나 유명한 개념서를 보는 것은 과하다 생각하였습니다. 그래서 실기 대비 개념정리 노트를 인터넷에서 구매하여 공부하였습니다. 20장 정도되는 pdf였는데 이게 꽤 괜찮았습니다. 사실 실기는 필기와는 다르게 개념을 외워서 풀기 보다는 프로그래밍 문제나 sql문제가 주를 이루기 때문에 앞쪽 개념에 과투자를 하는것이 부담스럽습니다. 그래서 개념정리 노트를 통해 그 부분만 완벽히 알고 가면 충분할거 같았습니다. 제가 봤던 노트는 https://smartstore.naver.com/history_ryan/products/10047950608 여기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난이도
실기는 노트+3~4개년 기출을 돌리고 보았습니다. 기출을 풀때 모르는 개념이나 풀이가 틀리면 정리하고 넘어갔습니다. 난이도는 어렵다는 생각은 안들었습니다. 그러나 프로그래밍 문제같은 경우 실수하는 경우에 아예 틀리기 때문에 신중하고 꼼꼼히 푸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전공자 기준으로 이 부분만 유의한다면 충분히 어렵지 않게 합격할 수 있으실 겁니다. 실기는 기본 개념이 있다는 가정하에 일주일만 정말 빡세게 잡고 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실기 결과가 나오진 않았지만 가채점 85~90 사이로 합격 점수를 받았습니다.)
너무 겁먹지 마시고 평소 전공 공부를 열심히 하셨다면 그것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좋은 시험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두 합격을 기원합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agger 403 에러응답 (0) | 2024.11.28 |
---|---|
Restful 하구마잉 (1) | 2024.10.16 |
YAML 파일 작성법 알아보기 (0) | 2024.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