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 방식이란 무엇인가? url을 사용해서 웹 개발을하는 방식? 하나의 url을 통해서 여러 행위나 목적을 달성하는 방식?
틀린말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뭔가 크게 와닿지는 않는 느낌이다. 요즘은 다 Restful api 개발을 필수적인 경험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만큼 Rest가 주는 이점과 변화가 크다는 의미로 느껴진다. Rest는 사실 url을 사용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그러한 방법들을 고려해서 url을 사용해 api를 만든다면 우리는 그것을 Restful(레스트스러운) api라고 부른다.
기존의 url을 사용할 때는 url에 행위와 목적을 나타냈다. 예를 들어 CRUD를 구현할 때 /board/create, /board/modify 라는 식으로 url을 사용하고 데이터는 GET/POST 등을 통해 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냈다. create와 modify는 게시판 생성과 게시판 수정이라는 행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최근에 웹사이트의 url을 살펴보면 위와 같은 url 형태는 찾아보기 힘들다. 보통 숫자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바로 Restful api 때문이다.
내가 이해한 Rest 방식은 자원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url에 행위와 목적이 아닌 내가 사용하고 싶은 자원을 나타낸다. 가령 /board/123 이라는 url은 123번 게시물을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123번 게시물이라는 자원을 명시한 것이다. 그리고 GET/POST 와 같은 HTTP 메소드를 통해 내가 하고 싶은 행위와 목적을 나타낸다. 이러면 url을 바꾸지 않고 HTTP 메소드 변경으로 행위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장점
이렇게 했을 때 이전보다 장점이 뭐가 있을까 라는 고민을 해보았다. 나 또한 이전 방식으로 api를 만들어 본적은 없다. 그래서인지 크게 장점을 떠올리지 못했다...
그래서 찾아봤다!!
가장 공통적으로 나오는 장점은 특정 데이터에 대한 명확한 표현이라고 한다. 데이터를 표시하였을때 개발이 더 쉬워져서 그런가? 싶긴하다.
//2024.10.16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agger 403 에러응답 (0) | 2024.11.28 |
---|---|
YAML 파일 작성법 알아보기 (0) | 2024.09.24 |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후기(필기, 실기 난이도) (1) | 2024.08.19 |